[공황, 공포와 몽크]
공황 장애공포증심리치료 효과?특이한 치료 사례 소개대화 치료의 효과?치료자의 평가?치료자의 학력과 경력전문 사이트 소개21세기 정신장애의 유형

공황, 공포와 몽크 
공황 장애의 역사 
공황의 학술적인 연구 
현재 공황의 사회적 상황 
공황 장애의 특징 
공황과 유사한 생리적 질병들 
공황장애의 내면 세계 
공황 장애의 심리치료 과정 
공황장애 치료 사례 
공황 장애와 공포증의 심리치료>공황 장애>공황, 공포와 몽크

 

몽크(Edvard Munch)의 대표작 "비명, 절규"(The Scream)

 -  공황과 무기력 함과 공포감의 드라마틱한 표현-

 

 

에드바르 몽크(Edvard Munch)는 공황 장애, 버림받음의 우울증, 죽음, 그리고 애통을 눈에 보이는 그림으로 표현을 가장 잘 한 시각  예술의 대표자

--뉴욕 코넬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정신분석학자인 제임즈 마스트슨(James F. Masterson)--

 

 

노르웨이의 표현주의 작가 에드바르 몽크(1863-1944)의 대표작 파스텔화 작품이 2012년 5월 2일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1억 1992만 2250달러(약 1355억원)에 낙찰이 되었다. 예상 낙찰 가격의 8000만 달러를 크게 뛰어넘은 것이다. 이날 경매에서 나온 몽크의 절규라는 이름으로 그린 회화 4점 가운데 1895년 작품이다. 파스텔로 그린 이 작품은 피테르 올센이 소장해 왔다. 올센은 몽크의 친구이자 후원자였던 토마스 올센의 아들이다. 이 작품은 이날 경매에서 시작해서 낙찰자 7명의 경쟁 속에서 12분 만에 낙찰이 되었다. 몽크의 절규는 인간의 원초적인 두려움을 묘사한 작품으로 1892년에 경험한 공황 발작을 토대로 그린 작품이다(2012.06.10 한국경제 )

 

 

 

에드바르 몽크(Edvard Munck)는 공황, 공포증, 우울증을 앓았던 표현주의의 화가로 그가 느낀 내면 마음 속의 심리적인 상황을 드라마틱하게 표현을 한 작가이다. 그가 그린 그림들은 인간의 공포, 공황, 우울함, 무기력, 죽음 등의 심리적인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유명하다.

몽크의 내면 심리는 많은 정신과 의사, 정신분석학자들의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대표적인 학자로써 뉴욕 코넬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이자, 정신분석학자인 제임즈 마스트슨(James F. Masterson)이 몽크의 전기와 몽크의 작품들을 정신분석적으로 분석한 그의 저서 "참 자아를 찾아서"에서 몽크에 대한 그의 글을 일부분 발췌한 것을 소개하고자 한다. 몽크를 공황, 공포증의 심리치료 홈페이지에 소개한 것은 공황, 공포증, 무기력함, 우울증 등의 인간 내면의 심리적 상황을 절묘하게 잘 표현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의 어린 시절의 성장 과정과 성인으로 평생 동안 살아온 삶의 역정을 살펴 보면 공황, 공포증, 우울증, 무기력함에 대한 심리적 이해가 도움이 될 것이다.

 

 

 

 

 

 에드바르 몽크(Edvard Munck)(1863-1944): 공황, 공포증, 우울증의 화가

 에드바르 몽크(Edvard Munck)는 노르웨이에서 태어났다. 5명의 자녀들 중에 둘 째였다. 그의 누나는 1살 위였다. 군의관인 그의 아버지는 그의 어머니의 나이보다 두 배가 많았다. 그의 어머니는 그녀가 에드바르(Edvard)를 낳았을 때 이미 폐결핵으로 병이 들어 있었다. 어머니는 몽크(Munch) 5 살 때 죽었다. 그 어머니의 여 동생인 이모가 그 어린이들을 돌보아 주고 가사를 돌보기 위해서 그의 집에 왔다. 에드바르(Edvard)는 종종 병약한 어린이였다. 그는 그의 누나와 대단히 가까웠다. 그러나 그의 누나는 에드바르(Edvard) 15살 때 폐결핵으로 죽었다. 이러한 그의 어린 시절은 그의 성격에 지울 수 없는 인상을 심어 주었다. 여성들에 대한 느낌들과 그의 지각들 그리고 그의 예술을 통해서 그 참 자아를 창조하려는 그의 욕구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참 자아는 그가 어렸을 때 나타날 수가 없었다. 그의 불리 불안과 버림받음의 우울증은 그의 그림을 통한 초상화 들로부터 그리고 그가 그의 삶에서 그가 개인적인 관계에서 가졌던 어려움들로부터 정신분석학자인 마스트슨(Masterson)은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그는 한 사람의 "보드라인 성격장애자"였다. 그리고 그러므로 그의 엄마와 누나의 죽음을 애도할 수가 없었다. 그것은 그들의 죽음 뿐만 아니라 그에게 영향을 미친 한 개의 이미 보드라인 성격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 때문이었다."

 81살의 긴 생애 속에서 몽크(Munch) 50,000장의 그림과 스케치들을 생산을 했다. 참 자아를 탐색을 위한 천재적인 시각적인 노력이었다. 몽크(Munch)는 완전히 그림 속에 묻혀서 방황하는 방랑자 생활을 했다. 우울증, 외로움, 그리고 알코올 중독이 그를 괴롭혔다. 그리고 건강 휴양지로 빈번하게 여행을 했다. 그러나 그의 문제점 들을 치유를 찾지 못했다. 그의 삶을 통해서 그는 한 여성과 장기적인 관계를 그 스스로 지속할 수가 없었다. 그의 삶의 대부분은 툴라 라르센(Tulla Larsen)과의 2년 동안의 생활을 제외하면 빈약하고 단발적이고 에피소드적이었다. 그러나 툴라(Tulla)가 결혼을 제의를 했을 때 몽크(Munch)는 글자 그대로 탈주해서 도망을 가 버렸다.

 그는 여성들이 그의 진실한 예술적인 자아-표현의 잠재력을 실행을 하는데 방해물이 된다고 합리화를 했다. 다른 말로 하면 그들은 여성들이 참 자아의 발달에 방해가 된다는 것이었다. 참 자아를 위한 그의 예술적 요구는 너무나 연약했다. 그는 그것을 그것에 노출을 하지 못했고 관계의 위협으로 받아들인 것이었다.

 그의 그림들은 분리 공황, 버림받음의 우울증, 죽음 그리고 애통을 눈에 보이는 그림으로 표현을 가장 잘 한 시각 예술의 대표자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그의 유명한 그림인 비명, 절규(The Scream)은 무기력함과 분리의 공황의 한 개의 드라마틱한 유발을 표현하고 있다. 그는 반복해서 상실의 느낌들을 그리고 죽음의 버림받음을 두고 두고 반복해서 그렸다.

 그 자신의 고통에 찌들린 그의 어린 시절의 기억들과 어린 시절에 엄마와 누나의 죽음이 그러한 그림들에서 일어나고 있다. 즉 죽음의 침대 옆에서(1893), 병실에서 죽음(1893-1894), 병든 어린이(1885-1886), 멜랑꼴리(1891), 할렘(배의 조타실)에서 죽음(1893), 죽은 엄마(1895) 그리고 죽은 엄마와 어린이(1897-1899) 등이 그들이다.

 여성들을 지각하고 이해를 하는데 몽크(Munch)의 어려움 들은 다음과 같은 그의 그림 안에서 묘사되어져 있다. 마돈나(1895), 흡혈기(1893-1894), 그 여성(스핑크스)(1893-1894), 질투심(1898). 그리고 그의 두 개의 작품들 그 작품의 제목 들인 분리(1894, 1896)는 그 버림받음의 우울증의 한 개의 핵심 테마를 메아리 친다.

 그는 말을 하기를 나는 결코 사람들을 사랑해 본 적이 없습니다. 나는 산에 올라갈 수 있는 그 열정을 경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그 열정을 경험을 했습니다 그 열정은 심장을 찢어 놓고 그리고 사람의 피를 마십니다 그러나 거기에는 내가 다음과 같이 말을 할 수 있는 사랑이 아무데도 없었습니다. 여성들이여! 내가 사랑을 한 사람은 당신이었습니다. 당신은 내 모든 것 내 전부입니다.(Ragna Stang: Edvard Munch, 1979). (Woman! It is you I love you are my all).

 45세의 나이에 그의 알코올 중독은 악화 되었다. 그는 박해 망상들 그리고 환각들을 개발을 했다. 그는 8개월 동안 병원에 입원을 했다. 내 조건은 미침의 문턱에 와 있습니다. 그는 단언을 했다.

 그는 한개의 보드라인 조건 안에서 한 개의 분리 정신증을 경험을 하고 있었다. 혹은 그의 조건은 한 개의 정신증 악화로 되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많은 생산적인 작품 활동을 함으로써 회복을 했다. 고통스런 느낌들을 방출을 할 수 있는 그의 능력은 그리고 그의 예술을 통해서 그의 참 자아를 활동을 시키기 위한 그의 능력은 그로 하여금 더 좋은 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는 그렇지 않았다면 빠져 나올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기본적인 성격 구조는 변화되지 않았다(Masterson, 1989).

연락처 
		서울 (목,금,토 )
		부산 (월,화,수 )
		휴대폰  010- 4512-1275 jongmankim@hanmail.net

 휴대폰: 010-4512-1275

 jongmankim@hanmail.net

[시작][공황 장애][공포증][심리치료 효과?][특이한 치료 사례 소개][대화 치료의 효과?][치료자의 평가?][치료자의 학력과 경력][전문 사이트 소개][21세기 정신장애의 유형]

Copyright(c) 20013 Psychology Clinic. All rights reserved.